박항서 "협회 외국인 위원장 선임 의문…국내 감독도 역량있다"

스포츠토토 배트맨 먹튀검증 먹튀 검증소 슈어맨 스포츠분석 야구 축구 배구 농구 라이브스코어 네임드 토토정보 사다리 스포츠 뉴스 악성유저 안전공원 무료픽 선발 결장 엔트리 돈버는법 안전사이트 토토사이트추천 카지노 성인pc 검증소 먹튀검증
먹튀검증소 스포츠 토토뉴스 | 토토정보 꿀경기 정보 핫뉴스
안전사이트 열람 닫기

박항서 "협회 외국인 위원장 선임 의문…국내 감독도 역량있다"

totosaveadmi… 0 27

박항서

베트남과 5년 동행 마친 소회…"살다 보면 만남과 헤어짐 있어"

"국내 감독·행정가는 생각 없어…훌륭한 후배, 동료들 많다"

(서울=연합뉴스) 이의진 기자 = 베트남과 5년가량의 동행을 마친 박항서(64) 감독이 아직 결정되지 않은 차기 축구대표팀 감독에 관련해 대한축구협회에 '소신 발언'을 내놨다.

박 감독은 17일 오후 비대면으로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축구협회 위윈회의 시각은 나와 다를 수 있다. 분명한 건 국내 지도자도 언어 문제만 아니면 역량이 있다"며 "다만 국내 지도자가 감독이 되면 협회에서 외국 감독이 부임할 때만큼 지원해주지 않는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디어는 비난이나 조언을 할 수 있지만 협회가 일정 부분 감독이 소신을 유지하게끔 방패 역할을 해줘야 한다"며 "이런 측면에서 협회가 제 역할을 했는지 돌아봐야 한다. 국내 지도자도 역량이 있다는 걸 봐줬으면 한다"고 짚었다.

박 감독은 16일 끝난 2022 아세안축구연맹(AFF) 미쓰비시일렉트릭컵(미쓰비시컵)을 마지막으로 2017년부터 이어온 베트남 축구와의 '동행'을 마무리했다. 베트남은 이번 대회에서 태국의 벽을 넘지 못하고 준우승했다.

그는 축구협회가 감독을 선발의 책임자로 마이클 뮐러(58) 국가대표 전력강화위원장을 낙점한 것에 대해서도 의문을 품었다.

박 감독은 "직접 뵙지는 못했지만 독일 분이라는 건 안다"며 "거기서 또 의문이 생겼다. 이분께서 국내 지도자들의 역량을 얼마나 알까 싶다. 서류와 데이터를 본다고 (국내 지도자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가능할까 싶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선임부터가 외국인 감독을 뽑기 위한 것일까 해서 의아하게 생각했다. 기술 부문 위원장이 외국 분이라는 점부터 예외적이라고 봤다"고 덧붙였다.

이번 인터뷰 자리는 베트남과 동행을 마친 박 감독이 직접 소회를 밝히길 원해 마련됐다.

박 감독은 향후 거취를 고민 중이라면서도 국내에서 지도자, 행정가로 일할 생각은 없다고 딱 잘라 말했다.

그는 "한국은 나보다 훌륭한 후배, 동료들이 많다. 특별히 내가 한국에서 현장에서 할 일은 없다"며 "5년간 한국을 떠나있어서 현장감도 떨어진다"고 했다.

행정가로 전직할 가능성도 일축했다.

박 감독은 "해외에서는 말이 통하지 않는데 내가 행정가를 하겠나. 김판곤 (말레이시아) 감독만큼 영어도 못 한다"며 "국내에서도 축구협회나 프로축구연맹에 들어갈 생각은 없다. 나는 행정 능력이 없다"고 말했다.

다음은 박 감독과 일문일답.

-- 베트남과 동행을 마치는 소회

▲ 5년간 베트남 23세 이하 대표팀과 A대표팀 감독직을 맡아오다가 마지막 동행을 마쳤다. (미쓰비시컵에서) 아쉽게 준우승에 그쳤지만 최선을 다했다. 아쉬움은 남지만 선수들에게 감사를 전한다. 마지막 동행이라는 게, 이별해야 한다는 게 마음이 아프다. 살다 보면 만남과 헤어짐이 있다. 베트남 축구가 더 발전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본다. 나도 마음의 정리를 해서 새로운 길을 갈 생각을 하고 있다.

-- 5년이라면 짧지 않은 시간이다. 실감이 나는지.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은.

▲ 여러 번 이야기했지만 이렇게 장기간 베트남에 있을 것이라 생각하지 못했다. 1년만 버티자고 한 게 5년까지 왔다. 생각보다 더 긴 세월이었다. 매번 대회마다 나름대로 최선을 다했다고 생각하지만 돌아보면 부족한 면도 많이 있다고 생각한다. 지금도 제 방 옆에서는 우리 선수들이 떠들고 있다. 후회 없이 했다고 생각하지만 선수, 코치, 스태프들과 헤어진다는 점 아쉽고 마음이 아프다.

5년간 좋은 기억들이 많다. 그래도 가장 기억에 남는 건 선수들이다. 운동장에서는 나한테 많이 혼도 났다. 우리 사랑방이라고 할 수 있는 의무실에서 같이 뒹굴고 했던 그 순간이 앞으로도 많이 기억에 남을 것 같다.

-- 향후 계획은.

▲ 베트남과 한국에서는 감독을 하지 않는다고 분명히 말씀드렸다. 베트남에서는 대표팀 감독을 내려놓은 상태에서 다른 현장 감독은 맡을 생각이 없다. 한국은 나보다 훌륭한 후배, 동료들이 많다. 특별히 내가 한국에서 현장에서 할 일은 없다고 판단한다. 5년간 한국을 떠나있어서 현장감도 떨어진다.

성격상 어느 하나의 일을 하면 다른 일을 생각하지 못하는 편이다. 회사가 내 미래에 대해 몇 가지 안을 가진 것 같긴 한데 나도 생각을 하고 가족들과 상의해야 한다. 어떤 곳에서 어떤 일을 할지 깊이 고민해봐야 한다. 분명한 건 축구와 관련된 일을 할 것이라 생각한다.

-- 국내에서 유소년팀을 지도할 생각은 없나.

▲ 잘 모르겠다. 아직 없다. 한국에는 학원 스포츠와 유소년 아카데미가 많이 있다. 기회가 된다면 할 수 있겠지만 역량이 될지 모르겠다. 한국이 싫은 건 아닌데, 지금 베트남에서는 한국보다는 그런 부분이 더 필요하다 봐서 생각하고 있었다. 베트남에서 유소년 축구와 관련된 제안들이 오고 있어 고민 중이다.

-- 행정가의 길을 갈 가능성도 열어두나.

▲ 해외에서는 말이 통하지 않는데 내가 행정가를 하겠나. 김판곤 감독만큼 영어도 못한다. 국내에서는 축구협회나 프로축구연맹에 들어갈 생각은 없다. 나는 행정 능력이 없다. 날 받아주지도 않겠지만 나도 생각은 없다.

-- 동남아에 한국인 지도자가 늘었다. 맞대결에서 기억나는 장면이 있나

▲ (여러) 국가대표팀의 부름을 받는 인물이면 능력을 검증받은 것이다. 잘할 것이라 믿는다. 다만 타국에서 감독직을 수행하는 게 어렵다. 그 나라 관습과 문화를 존중해야 한다. 감독이라면 선수에게 신뢰를 얻어내는 게 중요하다. 나도 나름대로 한국인이라는 책임감으로 조심스럽게 행동했다. 나보다 다 훌륭한 분들이니 잘하리라 생각한다.

--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에 48개국이 나간다. 베트남의 본선 진출까지 팀을 이끌고 싶지 않았나.

▲ 그런 욕심은 없다. 처음에 2년 계약이 끝났을 때 박수 칠 때 떠나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 내 친구들도 그렇게 말했다. 2년 후에도 그런 얘기를 들었다. 4년에 추가로 1년을 연장할 때는 결과가 좋든 나쁘든 이미 동남아시아에서 베트남이 어느 정도 목표를 달성했다고 생각해 떠날 생각을 했다. FIFA 랭킹 100위 안에 들어가겠다는 목표도 달성했다.

-- 베트남과 동행이 끝난 것에 대한 아쉬운 느낌이 들었나.

▲ 대회 기간 마지막이라는 표현을 (결승) 2차전 때 딱 한 번 썼다. 그 말을 쓰지 않으려 했다. 매번 초심으로 돌아가자고 다짐했다. 교만해지는 마음을 잡기 위해 노력했다. 우승하지 못했다는 아쉬움도 들었고, 화가 나가기도 했다.

어느 부분은 내가 잘못 선택했다는 생각도 들었는데, 다음 대회가 있었다면 그 생각을 더 했을 것이다. 그런데 이제 대회가 없으니 편안해지기도 했다. 선수들과 다시 못 뛴다고 생각하니까 또 서운하더라.

-- 마지막 경기 끝나고 선수들이 전한 말 중에 기억에 남는 게 있나.

▲ 끝나고 선수들과 라커룸에서 잠시 이야기했다. 서로 포옹하고 마무리했다.

-- 다음 월드컵에서 아시아의 출전권이 늘었다. 다른 아시아팀에서 월드컵에 도전할 생각이 있나.

▲ 모두 카타르에서 월드컵이 어떤 대회인지 봤다. 월드컵을 경험한 팀과 그렇지 않은 팀은 차이가 있다. 카타르 대표팀을 보면서 경험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내가 부족하지만 그런 팀에서 불러준다면 한번 생각해볼 것 같다. 그런데 불러주는 팀이 있겠나.

-- 베트남과 한국 국민과 축구팬들에게 전할 말이 있나.

▲ 먼저 조국인 한국 축구팬 여러분께 정말 감사드린다.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베트남에 있는데도 많은 응원, 격려를 해주신 점 안다. 나도 한국인이라 자부심을 느낀다. 5년간 응원해주신 베트남 국민, 축구 팬분들께도 감사드린다.

-- 외국에서 여러 한국 지도자들이 실력을 인정받고 있지만 우리나라 대표팀 감독으로는 평가절하되는 부분이 있다.

▲ 내가 어떻게 성공한 지도자라고 하겠나. 베트남에서 '박항서는 한국 사람이다', '열심히 했던 사람이다'라고 기억되고 싶다. 한국에도 유능한 지도자들이 많다.

감독을 선임하는 협회의 위원회가 보는 시각은 나와 다를 수 있다. 분명한 건 우리 지도자들도 언어 문제만 아니면 역량이 있다. 단지 왜 협회에서는 금전적인 부분을 차치하고 국내 지도자가 (감독직을) 맡으면 외국 감독 만큼 지원해주지 않는지 의문이 든다. 그런 부분만 해결되면 (국내 지도자들도) 충분히 대표팀을 맡을 역량이 있다고 본다.

미디어는 비난이나 조언을 할 테지만 일정 부분 협회가 감독이 소신을 유지하게끔 방패 역할을 해줘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협회가 제 역할을 했는지 돌아보고, 국내 감독들도 역량이 있다는 걸 봐줬으면 한다.

기술위원장님을 뵙지는 못했고 독일 분이라는 건 안다. 거기에 또 의문이 생겼다. 이 위원장님이 과연 국내 지도자들의 역량을 얼마나 알까 싶다. 서류와 데이터를 본다고 해서 정확한 평가가 가능할까 싶다.

이 선임부터가 외국인 감독을 뽑기 위한 것일까 해서 의아하게 생각했다. 기술위원장이 외국 분이라는 점에는 예외적이라고 생각한다.

pual07@yna.co.kr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6PodGlKqWgw


0 Comments